#1. 2014년 4월 16일

2014년에 나는 광주에서 의경으로 군 복무를 하고 있었다. 그해는 유난히 사건사고가 많았던 것으로 기억한다.
세월호에 대한 정보를 처음 접한 건 탈영한 후임을 잡으러 나갔을 때이다. TV를 보며 사람들이 깊은 한숨을 내뱉고 있었다. 배가 가라앉고 있었다. 하지만 탈영한 후임 때문에 정신이 없던 때라, 내무반에 들어온 이후에야 큰 사고가 일어났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정부는 사고 초기에 전원을 구조했다고 알렸지만, 사실이 아니었다. 가만히 있으라는 말에 자리를 지켰던 사람들이 물속으로 가라앉았다. 시간이 지남에 따라 대통령의 7시간, 청해진 해운 등 숨겨왔던 진실만 하나둘 수면 위로 올라오기 시작했다. 답답했다.


#2. 2014년 7월 17일

세월호 사건 이후 감찰이 잦아졌고, 재난 상황을 대비하는 훈련을 자주 하게 되었다. 7월 17일은 훈련 예정일이 아니었다. 하지만 오전 근무를 마치고 내무반으로 올라가 보니 부랴부랴 C형 출동을 준비하고 있었다. 또 훈련인가? 옷을 급하게 갈아입고 후임들을 챙기며 내려가는데 온 경찰서가 비상인듯했다. 아, 실제 상황이구나. 수완지구에 세월호 참사 지원 활동을 마치고 복귀하던 소방헬기가 떨어졌다고 했다.
사고 현장으로 가보니 사거리의 중앙이 움푹 파여있었다. 헬기의 파편으로 인해 거리에 있는 상가 유리창이 대부분 깨져 있었다. 사고 현장으로 시민들이 들어오지 못하도록 1차, 2차, 3차 폴리스라인을 치면서 반경을 넓혔지만 몇몇 기자들은 몸싸움하며 기어코 들어오려 했다. 야속하게도 비는 그 날 내내 세차게 쏟아졌다.
그때를 떠올리면 아찔하다. 헬기가 초등학교와 아파트, 상가 사이로 떨어졌으니까. 만약 헬기가 조금만 옆에 떨어졌더라면 더 큰 사고로 이어졌을 뻔했다.
그 사건 이후 이전부터 이슈가 되었던 소방공무원에 대한 처우 문제와 노후된 장비 문제가 대두되었다. 하지만 고쳐지지 않았다.


#3. 2017년 4월 16일

글을 쓰면서 사건에 대해 다시 찾아보다 보니 많이 우울해졌다. 수많은 문장을 지웠다가 썼다를 반복하다 모두 지워버렸다. 세상은 생각보다 추악하다.

정의로운 어른이 되어야겠다. 이런 세상을 물려주고 싶지 않다.


'글상자 > 끄적끄적' 카테고리의 다른 글

#70. 내일이 기다려지는 이유  (0) 2017.04.29
#69. 죽자고 마신 날  (0) 2017.04.29
#67. 별이 빛나지 않는 밤  (0) 2017.04.15
#66. 개인주의와 집단주의  (0) 2017.04.13
#65. 통계적 관점  (0) 2017.04.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