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헬로 데이터 과학』 - 김진영

4. 데이터 분석과 스토리텔링
17) p.158 진정한 발견은 새로운 장소를 찾는 것이 아니라, 새로운 관점을 갖는 것이다. - 마르셀 프루스트
18) p.159 탐색적 분석이 필요한 몇 가지 이유가 있다.
[1] 우선 데이터의 분포 및 값을 검토함으로써 데이터가 표현하는 현상을 더 잘 이해하고, 데이터에 대한 잠재적인 문제를 발견할 수 있다.
[2] 이를 통해 본격적인 분석에 들어가기에 앞서 데이터를 다시 수집하거나 추가로 수집하는 등의 결정을 내릴 수 있다.
[3] 또한 데이터를 다양한 각도에서 살펴보는 과정을 통해 문제 정의 단계에서 미처 발생하지 못했을 다양한 패턴을 발견하고, 이를 바탕으로 기존의 가설을 수정하거나 새로운 가설을 세울 수 있다.
[4] 데이터에 대한 이런 지식은 이후에 통계적 추론을 시도하거나 예측 모델을 만들 때 유용하게 사용된다.
- 확실히 데이터 사이언스 공부를 하다가 이 책을 읽으니 맥락이 훨씬 쉽게 이해된다. 열정대학에서 이와 관련된 과목을 어떻게 만드는 것이 좋을까.

읽은페이지 수 / 달린 거리 / 누적 달린 거리

26p / 52m / 13860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