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헬로 데이터 과학』 - 김진영

21) p.207 "어떤 가설의 유효성에 대한 유일한 검정 방법은 예측값과 실제 결과를 비교하는 것이다." - 밀턴 프리드먼
22) p.209 기계학습에도 학습 목표가 되는 예측 결과가 존재하는 경우와 그렇지 않은 경우가 있는데, 예측 목표 여부에 따라 크게 지도학습(supervised learning)과 자율학습(unsupervised learning)으로 나눈다.
23) p.219 데이터는 어떤 일이 일어나는지를 알려준다. 스토리는 왜 그것이 중요한지를 말해준다.
- 팀프로젝트를 하면서 느낀 점인데, 데이터 분석을 하고나서 사람들에게 발표를 할 때 스토리 텔링의 방향과 방식도 고민을 많이 해야할 것 같다.

읽은페이지 수 / 달린 거리 / 누적 달린 거리

24p / 48m / 13958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