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헬로 데이터 과학』 - 김진영
25) p.253 눈에 보이지 않는 현상을 데이터화하는 것은 쉬운 일은 아니지만 그렇다고 불가능한 것도 아니다.
26) p.255 행복을 데이터화하기 위해 처음 답해야 하는 질문은 "행복을 어떻게 정의할 것이냐?"다.

27) p.258 경험 추출법을 실제로 사용하는 가장 편리한 방법은 아래와 같은 앱을 사용하는 것이다. 안드로이드의 경우 iMoodJournal 앱으로, 아이폰은 Reporter 앱으로 자신이 정의한 임의의 질문에 대한 대답을 경험 추출법에 따라 기록할 수 있다.
- 생활데이터학과에서 추천할만한 어플. 우선 나부터 사용해보고 추천하자.
28) p.262 과연 필자의 행복도는 이런 노력의 결과로 올라갔을까? 우선 첫 번째 질문에 대해 필자는 자신 있게 답할 수 있다. 필자는 행복 측정을 통해 필자를 행복하게, 혹은 불행하게 만드는 다양한 조건에 관해 배울 수 있었다. 이는 행복도와 기타 관련 지표 간의 간단한 상관 분석으로 확인할 수 있는 문제다.
29) p.267 스스로 물어보자. 나의 목표는 무엇이며, 그것을 수치화할 수 있는 방법은 무엇인가? 그리고 이런 노력이 무엇을 얼마나 바꿔놓을 수 있을까?
읽은페이지 수 / 달린 거리 / 누적 달린 거리
22p / 44m / 14046m
'열정대학 > 독서마라톤'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독서마라톤, 64일차]『태백산맥』1권,『Grokking Algorithms』(베타 리딩) (0) | 2016.10.30 |
---|---|
[독서마라톤, 63일차]『고성능 파이썬』『Grokking Algorithms』(베타 리딩) (0) | 2016.10.29 |
[독서마라톤, 61일차]『헬로 데이터 과학』 (0) | 2016.10.27 |
[독서마라톤, 60일차]『헬로 데이터 과학』 (0) | 2016.10.26 |
[독서마라톤, 59일차]『헬로 데이터 과학』 (0) | 2016.10.25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