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백산맥』 3권 - 조정래
p.175 - p.300
『미라클모닝』 - 할 엘로드
p.4 - p.236
인상 깊은 구절
1) p.9 정신없이 바쁜 하루를 향해 - 엄청난 스트레스에 어찌할 바를 모른 채 - 아무 생각 없이 돌진해 들어가는 대신, 하루의 첫 1분을 조용히 앉아 침묵 속에서 목적을 찾으며 보내는 것이다.
2) p.21 대부분의 사람들은 평범한 삶을 받아들이고 삶이 그들에게 주는 것을 수동적으로 받아들일 뿐이다. 심지어 사업처럼 어느 한 방면에서 크게 성공한 사람도 건강이나 인간관계 같은 다른 방면에서는 평범함에 안주하려는 경향이 있다. 세스 고딘이 아주 잘 표현했듯이, '평균과 평범함에 차이가 있을까? 별로 없다.'
3) p.24 매일 어떻게 일어나고 어떻게 아침을 보내는지가 성공의 등급에 엄청난 영향을 미친다.
4) p.27 미라클 모닝 실천가들이 수없이 하는 비유가 있다. 매일 아침을 맞이하는 게 마치 어렸을 적 크리스마스 아침에 일어날 때와 같은 기분이라는 것이다.
5) p.31 절망은 극적인 변화를 위한 연료다. 자기가 믿었던 모든 것을 버릴 수 있는 자만이 탈출을 꿈꿀 수 있다. - 윌리엄 버로우스
6) p.37 건강, 행복, 경제, 인간관계, 경력 등 삶의 모든 방면에서 우리는 10등급의 성공을 원한다. 그러나 지식, 경험, 마음가짐, 신념 어느 면에서든 자기계발의 정도가 10등급에 미치지 못한다면 삶은 언제나 고달플 수밖에 없다.
우리 외부 세계는 언제나 우리 내부 세계를 반영한다. 우리의 성공 등급은 언제나 우리의 자기계발 등급과 일치할 것이다. 우리가 원하는 삶을 창조할 수 있는 사람이 되기 위해 자기계발에 매일 시간을 투자하지 않는다면 성공을 손에 쥐긴 어렵다.
7) p.40 첫 번째 한 시간은 하루의 방향키다. 만약 내가 잠에서 깬 후 첫 한 시간을 게으르고 무계획적으로 보낸다면, 무척 게으르고 멍하게 하루를 보내게 된다. 그러나 만약 내가 하루의 첫 한 시간을 생산적으로 쓰기 위해 노력한다면, 나머지 하루도 그렇게 따라가게 된다.
8) p.41 영향력이 큰 습관을 찾아라.
9) p.45 몸짓이 감정을 만든다.
10) p.60 - p.61 우리의 잠재의식 속에는 스스로를 한계에 가두는 룸미러가 하나씩 붙어 있다. 우리는 그 거울을 통해 끊임없이 과거를 재현하고 다시 체험한다. 과거의 나를 지금의 나로 착각하고, 과거의 한계에 근거해 지금 내가 가진 가능성을 제한한다.
11) p.61 한 조사에 따르면, 사람들은 하루에 5만 - 6만 가지 생각을 한다. 문제는 그 생각의 95퍼센트가 전날, 전날의 전날, 전날의 전날의 전날에 한 생각과 똑같다는 것에서 발생한다. 그러니 오늘도, 내일도, 이번 달도, 내년에도 삶의 질이 나아지지 않는 게 이상할 이유가 하나도 없다.
12) p.66 지금부터 일주일 동안 삶의 목표에 대해 생각해보고, 명확하게 그려보자. 그리고 매일 확인할 수 있도록 잘 보이는 곳에 적어두자.
13) p.67 하브 애커는 그의 책 <백만장자 시크릿>에서 '당신이 어떤 것 하나를 하는 방식이 곧 당신이 모든 것을 하는 방식이다'라고 말했다. 우리의 생각과 선택과 행동 하나하나가 우리가 어떤 사람이 될지를 결정하고, 결국 삶의 질을 결정한다. 당신이 옳은 일 대신 쉬운 일을 선택하게 되면 당신은 옳은 일 대신 쉬운 일을 하는 유형의 인간이 된다.
14) p.70 우리는 가장 많은 시간을 함께 보내는 다섯 명의 평균에 수렴한다는 연구결과가 있다. 당신과 가장 오랜 시간을 함께하는 사람은 누구인가?
15) p.71 성공의 정도는 자기계발의 정도를 초과하기 어렵다.
16) p.73 오늘을 마지노선으로 그어야 한다.
17) p.81 오늘은, 새로운 나로 거듭나기 위해, 더 나은 삶으로 발전시키기 위해 지금까지의 나, 지금까지의 삶과 이별하기 가장 좋은 날이다.
18) p.82 아침에 일어났을 때의 컨디션은 수면의 양보다는 일어났을 때 컨디션이 어떨 것이라고 스스로에게 한 '암시'에 더 큰 영향을 받았다.
19) p.90 매일 밤 잠들기 전에 긍정적인 암시를 자신에게 보낸다면 기다려지는 아침을 만드는 데 큰 도움이 될 것이다.
20) p.91 피로 회복을 위해 진짜로 필요한 것은 잠이 아니라 물이다. 6~8시간 동안 물을 마시지 않고 있으면 우리 몸은 약한 탈수 상태에 빠지는데, 잠에서 막 깨어났으 때의 상태가 꼭 그렇다. 탈수는 몸을 무기력하고 피로하게 만든다. 그렇기 때문에 아침에 눈뜨자마자 수분을 보충하는 게 무척 중요하다.
21) p.98 대부분의 사람들은 자신이 처한 '상황'을 감당하고 유지하고 살아내기 급급한 나머지 가장 중요한 것에 집중하지 못한다. 바로 '삶'이다.
'상황'과 '삶'의 차이는 무엇일까? '상황'은 나를 둘러싸고 있는 외부 환경, 사건, 사람, 장소의 집합이다. '삶'은 가장 심오한 단계의 '나'다.
22) p.103 침묵은 단순히 입을 다물고 있는 것이 아니다. 삶의 목적을 찾는 것이어야 한다. 마음속에 유익한 목표를 품고 침묵에 임해야 한다.
23) p.112 침묵 속에서 영혼은 더 뚜렷이 빛나는 길을 찾고, 형태를 알 수 없던 목표들이 수정 같이 맑게 모습을 드러낸다. - 마하트마 간디
24) p.120 '현명함'은 '왜'에서 시작된다.
25) p.121 감당할 수 있는 보폭을 선택하는 것이 중요하다. 높게 잡은 목표에 지레 좌절하지 말고 작은 목표를 이뤄가는 과정에서 느낄 수 있는 성취감을 쌓아라. 목표는 키워나갈 수 있다.
26) p.130 논리, 한계, 현실은 모두 잊자. 원하는 것이 무엇이든 가질 수 있고 할 수 있으며 될 수 있으면 무엇을 가질 것인가? 무엇을 할 것인가? 무엇이 될 것인가?
27) p.162 미라클 모닝의 의도는 눈뜨고 처음 하는 행동을 바꾸는 것이다.
28) p.169 삶을 사는 방법은 딱 두 가지다. 하나는 아무 것도 기적이 아닌 것처럼 사는 것이다. 다른 하나는 모든 것이 기적인 것처럼 사는 것이다. - 알베르트 아인슈타인
29) p.210 다른 사람들의 제한적 사고가 당신에게 가능한 것들을 제한하게 하지 마라.
30) p.223 당신이 지금 어디에 있느냐는 당신이 과거에 어디에 있었느냐가 결과이지만, 앞으로 당신이 가게 될 곳은 전적으로 당신이 어떤 사람이 되길 선택하느냐에 달려 있다.
미라클모닝 실천 계획
1. 침묵(명상)
2. 확신의 말(아침을 깨우는 문장 말하기)
3. 시각화(이상적인 오늘, 장기 목표)
4. 운동(요가, 골반 스트레칭 위주로)
5. 독서(주간지 읽기 - 시사인, 매경이코노미)
6. 일기 쓰기(에버노트 이용)
7. 매일 방 청소하기
8. 부모님께 전화하기
9. Coding Time 정하고, 그 시간 만큼은 코딩에만 열중하기
10. 자기 전에 수건 널어두기
미라클모닝 질답
읽은페이지 수 / 달린 거리 / 누적 달린 거리
359p / 718m / 19936m
'열정대학 > 독서마라톤'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독서마라톤, 89일차]『매경이코노미』1884호『사피엔스』 (0) | 2016.12.08 |
---|---|
[독서마라톤, 88일차]『밑바닥부터 시작하는 데이터 과학』 (0) | 2016.12.07 |
[독서마라톤, 86일차]『태백산맥』3권 (0) | 2016.12.04 |
[독서마라톤, 85일차]『생각하는 프로그래밍』『매경이코노미』1884호 (0) | 2016.12.03 |
[독서마라톤, 84일차]『태백산맥』3권『매경이코노미』1884호 (0) | 2016.12.02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