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왜 나는 너를 사랑하는가 - 알랭 드 보통


p.127 - p.278

15) p.144 누가 나를 본다는 것은 내가 존재한다고 인정받는 것이다.
16) p.163 시간을 고려한다면 배반과 사랑의 고백 사이에는 모순이 없다. "나는 너를 사랑한다"는 말은 늘 "지금" 그렇다는 의미로 받아들여야만 한다.
17) p.173 오늘은 이 사람을 위해서 무엇이라도 희생할 수 있을 것 같은데, 몇 달 후에는 그 사람을 피하려고 일부러 길 또는 서점을 지나쳐버린다는 것은 무시무시하지 않은가. 나는 클로이에 대한 내 사랑이 그 순간의 나의 자아의 본질로 이루어진 것이라면, 그녀에 대한 내 사랑이 한시적인 것으로서 끝을 맺는다는 것은 다름 아닌 내 일부의 죽음을 의미한다는 것을 깨달았다.
18) p.183 나는 너를 사랑하기 때문에 싫어한다. 이것은 나는 이런 식으로 너를 사랑하는 위험을 무릅쓸 수밖에 없다는 것이 싫다는 근본적인 주장과 통한다. 어떤 사람에게 의존하는 기쁨은 그런 의존에 수반되는, 몸이 마비될 듯한 두려움에 비교하면 빛이 바랜다.
19) p.184 인간의 모든 불행은 자기 방에 혼자 있을 수 없기 때문에 생긴다.
- 파스칼의 말이다. 인간은 관계를 통해 희노애락을 느낀다.
20) p.190 상대방에게 무엇 때문에 나를 사랑하게 되었느냐고 묻지 않는 것은 예의에 속한다. 개인적인 바람을 이야기하자면, 어떤 면 때문에 사랑받는 것이 아니라 나라는 사실 때문에 사랑받는 것이다. 속성이나 특질을 넘어선 존재론적 지위 때문에 사랑을 받는 것이다.
21) p.201 왜 너는 나를 사랑하지 않는가 하는 질문은 왜 너는 나를 사랑하는가 하는 질문만큼이나 대책 없는 [또 훨씬 덜 즐거운] 질문이다.
22) p.217 우리를 둘러싼 물질적 환경 속에서, 객실의 기술적 문명적 환경 속에서, 비행기 승무원들의 임상적 관심 속에서, 낯선 사람들이 감정적 위기에 처한 것을 보며 점잖은 체 고개를 돌리면서도 내심 안도감에 빠져 있는 다른 승객들 사이에서, 나는 더 큰 외로움을 느꼈고, 더 큰 초라함을 느꼈다.
- 군중 속의 고독은 상황에 젖을 수 없게 만들어 사람을 더 초라하게 만든다.
23) p.219 충격을 받았지만 아무것도 느끼지 못하는 상태. 현대적인 어법으로 하자면, 그것은 충격이 아주 강했다는 뜻이었다.
24) p.221 사랑의 거부가 종종 도덕적 언어, 옳고 그름의 언어, 선과 악의 언어의 틀 안으로 들어온다는 것은 놀라운 일이다.
25) p.238 나는 고통이 영원히 계속되기를 바랐다. 그래야 불타버린 신경의 말초를 통해서 클로이와 관련을 맺을 수 있었기 때문이다.
26) p.258 낙타는 시간을 따라 걸어가면서 짐이 점점 더 가벼워졌다. 계속 등에 실린 기억과 사진들을 흔들어 사막에 떨어뜨렸고, 바람이 그것들을 모래 속에 묻어버렸다. 낙타는 점점 더 가벼워져서 나중에는 그 독특한 모습으로 뛰어가기까지 했다. 그러다 마침내 현재라고 부르는 조그만 오아시스에서 이 지친 짐승은 나의 나머지를 따라잡게 되었다.
27) p.259 우리는 사는 방법을 알고 세상에 태어난 것이 아니지만, 사는 것도 자전거 타기나 피아노 연주하기처럼 하나의 기술이라는 것을 깨닫고 나면 지혜로워지려고 노력하기 시작한다.
28) p.271 금욕주의의 핵심에는 다른 사람에게 나를 실망시킬 기회를 주기 전에 스스로 실망해버리고 싶은 욕망이 있었다.


『사피엔스 - 유발 하라리


p.530 - p.636

103) p.535 우리는 다른 모든 동물의 운명을 깡그리 무시할 때만 현대 사피엔스가 이룩한 전례 없는 성취를 자축할 수 있다.
104) p.539 좋은 결혼은 행복과, 나쁜 결혼은 불행과 매우 밀접한 관련이 있다는 사실은 각종 연구에서 거듭 확인되고 있다.
105) p.540 행복은 객관적인 조건과 주관적 기대 사이의 상관관계에 의해 결정된다.
106) p.552 만일 당신에게 살아야 할 이유가 있다면 당신은 어떤 일이든 견뎌낼 수 있다. 의미 있는 삶은 한창 고난을 겪는 와중이더라도 지극히 행복할 수 있다. 이에 비해 의미 없는 삶은 아무리 안락할지라도 끔찍한 시련이다.
107) p.558 사람들이 번뇌에서 벗어나는 길은 이런저런 덧없는 즐거움을 느끼는 것이 아니라 이 모든 감정이 영원하지 않다는 속성을 이해하고 이에 대한 갈망을 멈추는 데 있다.
108) p.580 현대는 역사상 처음으로 모든 인간이 기본적으로 평등하다는 사실을 인정한 시대이며, 사람들은 이 사실을 자랑스러워한다. 하지만 우리는 이제 역사상 유례없는 불평등을 창조할 만반의 태세를 갖추고 있다.
109) p.584 스푸트니크 위성과 아폴로 11호 우주선이 세계의 상상력에 불을 지폈을 당시, 사람들은 앞다투어 20세기 말이 되면 우리가 화성과 명왕성에 건설한 우주 식민지에 살게 될 것이라고 예상했었다. 이런 예측 중에서 실현된 것은 거의 없다. 그러나 한편 인터넷의 존재를 예상한 사람은 아무도 없었다.
110) p.586 우리는 머지않아 스스로의 욕망 자체도 설계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아마도 우리가 마주하고 있는 진정한 질문은 "우리는 어떤 존재가 되고 싶은가?"가 아니라 "우리는 무엇을 원하고 싶은가?"일 것이다. 이 질문이 섬뜩하게 느껴지지 않는 사람이 있다면, 아마 이 문제를 깊이 고민해보지 않은 사람일 것이다.


『당신은 구글에서 일할 만큼 똑똑한가? - 윌리엄 파운드스톤


p.5 - p.105

1) p.26 상상력이 지식보다 중요하다.
2) p.59 푼돈에 불과한 광고비로 구글은 미디어의 주목을 받았고, 입소문 마케팅의 효과를 톡톡히 보았다. 모든 사람이 관심을 보인 것도 아니고, 관심을 보인 사람들조차 '구글엔 대책 없는 괴짜들만 바글댄다'는 결론을 내렸을 것이다. 하지만 최소한 구글이 원하는 유형의 인재들은 이 광고에 대해 반드시 들었을 것이다.
3) p.69 기괴한 면접 질문들은 말하자면, 마치 유전자처럼 재현과 모방을 반복하며 전승되는 사회관습문화인 밈인 셈이다.


읽은페이지 수 / 달린 거리 / 누적 달린 거리

360p / 720m / 22718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