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상깊은 구절 및 느낀점


6) p.80 좋아하는 일, 그리고 잘하는 일을 꿈으로 찾고 현명하게 '선택'하고, 열정을 다해 정말로 이룰 수 있다고 믿고 노력하며 열심히 좇아가고, 그 꿈들을 진심으로 대하고 소중히 여기고, 놓치지 않고 따르는 것. 그것보다 더 인생에서 중요한 것은 없다.
7) p.83 우리는 미래에 되고자 하는 어떠한 상을 '꿈'이라고 한다.
8) p.86 꿈은 열정적으로 '하고 싶은 일'이면서도 또 남들도 인정할 정도로 '잘하는 일'이어야 가장 바람직하다.
9) p.94~p.95 직장 면접 때 자주 물어보는 질문 중 하나가 "앞으로 5년, 10년, 20년 후의 자신이 어떤 일을 하고 어느 위치에 있을지 말해보세요"라고 한다. 물론 목표 의식을 가지고 미래에 대해서 생각해보는 것은 아주 중요한 일이지만, 어떻게 바뀔지 모르는 인생길에서 앞으로 5년, 10년, 20년 후에 꼭 생각하는 대로 될 것이라 바라는 거은 무리다. 그래서 우리는 꿈이 있더라도, 그 꿈을 좇으려 노력해도 이루지 못할 수도 있다는 사실을 받아들여야 한다. 그래서 중요한 것은 '꿈을 어떻게 현실화할 가능성을 높이느냐' 하는 것과 '현실화할 가능성이 높은 꿈을 어떻게 찾느냐' 하는 문제이다. 꿈을 현실화할 가능성을 높이는 일은 열정을 가지고 무던히 노력하는 것이고, 현실화할 가능성이 높은 꿈을 찾는 것은 재능 있는 분야의 꿈을 찾는 것이다.
- 내가 '데이터 사이언스'를 선택한 것도 현실화할 가능성이 높은 꿈을 찾는 과정에서 나왔다. 지금은 이 꿈을 어떻게 현실화할 가능성을 높이느냐에 집중할 때이다. 매일 구체적으로 계획하고 실천하자.
10) p.117 슬럼프 따위는 뒤돌아볼 시간도 없었다.
11) p.123 언제 어디서 어떠한 기회가 어떻게 올지 모르니 늘 진솔하게 최선을 다해야 한다.
12) p.132 Teaching is my passion, research is my joy.
13) p.163 자연에는 수많은 문제에 대한 우아한 해결 방법이 있다.
14) p.173 꿈을 이루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기본 교육이 중요한 것이다.
15) p.174 쓸데없는 일을 해서 노력과 시간을 낭비한다는 의미로 'Reinventing the wheel'이라는 표현을 쓸 정도로, 바퀴는 거의 완벽한 발명품이다.
16) p.202 나는 학생들에게 불가능해 보이는 도전을 던지고 그들이 어떻게 생각하는가를 관찰한다.
17) p.220 엄청나게 힘들지만 꼭 불가능하지는 않은 것을 지칭할 때 쓰는 'DARPA hard'라는 표현이 있다. 다르파가 추진하는 프로젝트들은 모두가 그만큼 어렵다는 의미다.
18) p.228 나는 공원을 산책하거나 카페에서 이야기를 나누거나 레스토랑에서 음식을 먹다가도 또는 미술관 관람을 하다가도 끊임없이 메모한다. 언제 어디서든 늘 내 주위의 모든 것에 호기심을 가지고 관찰하고 생각하다 떠오르는 것을 적어두는 것이다.
19) p.229 내가 생각하는 진정한 창의력이란 '전혀 다른 분야의 것들을 서로 연결시키는 능력'이다.
- 다음 분기에 데이터 사이언스와 관련된 선택 과목을 열게 될 때, 데이터를 끌어오는 루트들을 풍부하게 확보해야겠다.
20) p.244 나는 침대 옆 테이블 위에 잘 때 쓰는 아이디어 노트와 작은 LED 불이 달린 펜을 꼭 두고 잔다.
- 에버노트를 아이디어 노트로 활용하고 있긴 한데, 에버노트를 사용하지 못하는 순간들이 많이 있다. 그럴 때를 위한 노트 역시 하나 가지고 다니면 좋겠다.
21) p.254 문제의 재구성으로 만들어낸 아이디어를 현실화한 일은 더 없는 기쁨과 자긍심을 주었다.
22) p.260 어린아이의 눈으로 호기심을 잃지 말고 세상을 바라보고, 어른의 가슴으로 책임감을 가지고 이해하고 받아들이자.
- 독서의 즐거움의 13가지 주제에 대한 독서를 마친 이후부터는 데이터 사이언스와 관련된 책을 10권 이상 찾아서 읽자. 이후 개설할 선택 과목과 전공 과목의 방향을 잡자.
23) p.276 왜 배워야 하는지를 알아야 '배우고 싶어지는 것'이다.
24) p.277 수식만 적어놓은 수업은 잘해야 '공부'지만 일상 속 예제로 꾸민 수업은 쉽사리 '통찰'로 이어진다.
25) p.285 자기 직업으로서의 일도 '왜'하는지를 정확히 스스로가 이해하고 그것에 동의한다면, 재미있어진다.
- 이동 시간에 사람이 많아 책을 읽기가 힘들다면, TED 영상을 보는 것도 좋겠다. 미리 다운 받아 놓고 하나씩 보자.
26) p.342 인류를 위한 따뜻한 기술을 개발하고 사람들에게 행복을 가져다주는 것. 그것이 나의 꿈이다. 나는 오늘도 그 꿈의 삶을 살아가려 한다.






읽은페이지 수 / 달린 거리 / 누적 달린 거리

68~343 / 276p / 552m / 7354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