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상깊은 구절 및 느낀점



1) p.4 사람들은 저마다 발각되기를 기다리는 가벼운 비밀을 품고 있다고 생각합니다.

2) p.5 오늘날 인터뷰에 대한 수요는 군중 속의 고독을 강요하는 삶의 양식이 낳은 슬픈 허가의 신호라고 생각한다. 모든 것이 가짜처럼 보이는 시대에 진짜배기의 벌거벗은 진실에 가닿고 싶다는 간절한 발돋움이다.

3) p.11 누구보다 언어의 가능성을 신봉하는 사람이 작가고, 시네마의 힘을 믿는 사람이 영화감독이라고 우리는 단정하기 쉽다. 그러나 그 역 또한 사실이다.

4) p.11 거기서 우리가 얻을 수 있는 것은 성공이 아니라 무용한 아름다움이다.

5) p.15 원래 제겐 사회적 자아가 있고 소설 쓰는 자아가 있는데요. 처음 소설에 들어갈 때는 사회적 자아로 시작하는 경우가 많아요.

6) p.19 포기하지 않는 것 자체가 사랑의 행위라고 생각해요. 사랑의 결과로 얻게 되는 것에 대해선 관심이 없어요.

7) p.19 Q) 그렇다면 실패한 사랑이라든가 성공한 사랑이라는 구분은 의미가 없겠군요.

A) 오히려 실패한 족이 사랑했다는 느낌이 훨씬 강한거죠. 성공한 쪽은 과정을 그렇게 중요시하지 않으니까요.

8) p.23 시인은 단거리에 강해요. 행동과 사고가 민첩하고 말도 시니컬하죠. 소설가는 장거리주자에요. 항상 뒷일을 생각하기 때문에 술을 마셔도 소설가는 도중에 도망가는 데 서사가 없는 시인은 끝까지 자리를 지키죠.

9) p.27 불행으로 점철된 인생이라고 해서 실패한 삶이라면, 대부분의 삶은 실패에요.

10) p.27 Q) 그렇다면 작가님이 생각하시는 정말 실패한 인생은 어떤 인생인가요? 사랑한 기억이 없는 인생? 이야기 없는 인생?

A) 가짜로 산 인생이요.

11) p.27 소설가의 관점이라서인지 몰라도 제가 제일 경멸하는 책이 성공한 사람들의 자서전이에요. 그들은 실제로도 자기가 자서전에 써 있는 대로 살았다고 믿어요.

- 여과 없이 자신의 삶을 관찰하는 자세가 필요하다.

12) p.36 무대 오리기 전에 담배도 서너 대씩 피우고 벌벌벌 떱니다. 그런데 막상 오르고 나면 어느 순간 공중부양을 하는 느낌이 듭니다. ‘작두에 한 번 올라타면 그때부터는 저도 없고 아무도 없습니다.

13) p.43 하나로 만들기 위해서는 끊임없이 다양성을 인정해야 합니다.

14) p.45 무당의 작두, 택시기사의 운전대, 설거지하는 어머니의 수세미 안에는 다 신성이 담겨 있다고 생각합니다.

15) p.48 짐이란 무겁지만 하체를 튼튼하게 합니다.

16) p.48 어떤 일이 일어나면 주체에게 왜 그랬냐고 질문이 가야 맞습니다. 객체인 저는 할 말이 없고 정확히 어떤 일이 일어났는지도 모릅니다.

17) p.53 웃음에 대해 관대해져야 그 사회가 건강할 수 있습니다.





읽은페이지 수 / 달린 거리 / 누적 달린 거리

4~53 / 50p / 100m / 7454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