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글의 미래』 - 토마스 슐츠


p.73 - p.238
17) p.78 기술은 본질적으로 민주적입니다.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기술 진화를 통해 거의 모든 것의 수준이 향상될 수 있습니다. 이 말은 우리가 살아 있는 동안 세상 모든 이들이 똑같은 권력 도구를 손에 쥘 수 있다는 의미입니다.
18) p.79 10년 전을 생각하면 우린 아주 먼 길을 떠나온 셈이지요. 다음에 우리는 어디로 가게 될까요? 분명 세상의 모든 데이터가 우리 두뇌에 곧장 연결되거나 인공지능을 통해 더 나은 세상이 펼쳐질 것입니다.
- 구글은 기술 낙천주의를 바탕으로 세상을 이끌어 나간다. 하지만 우리의 미래는 정말 그들의 말처럼 '더 나은 세상'으로 향하고 있을까.
19) p.88 페이지에게 진정한 실수란 대담하지 못한 선택을 하는 일이다.
20) p.92 페이지는 잡스와 정기적으로 대화를 나눴는데 잡스는 페이지에게 거듭 "자넨 한꺼번에 너무 많은 것을 하고 있네."라고 말했다. 그럴 때마다 페이지는 대답했다.
"당신은 일을 너무 적게 하고 있어요."
21) p.97 "우리는 긍정적인 태도를 가져야 합니다."
세계관과 철학, 기업에 비전을 묻는 질문에 답변할 때마다 페이지가 가장 자주 사용하는 단어는 '낙천주의'다. 그는 "예전에는 사람들이 미래의 가능성과 기회에 열광했다."라고 말했다. 가령 그는 날아다니는 자동차를 구경하기 위해 사람들이 몰려들었던 지난 세기의 세계 박람회를 거론했다. 그는 답답한 모양이었다.
"그런데 왜 우리는 이렇게 비관적일까요? 과학적으로 전혀 이해가 가지 않아요."
22) p.103 지난 10만 년 동안 인간의 역사는 지엽적으로 단선적으로 이어져왔다. 그러다가 갑자기 문명의 발전이 전 지구적이고 기하급수적으로 이뤄지기 시작했다. 커즈와일의 이론은 그 한 예다. 서른 걸음을 직선적으로 걸으면 최대 30미터까지 가지만 기하급수적으로 걸으면 수십억 미터까지 갈 수 있다. 이 속도를 따라잡을 수 있겠는가?
23) p.112-p.113 알고 있다시피 전 세계에서 여전히 수백만 명이 교통사고로 사망하고 있다.
"그렇다면 10년이 아니라 5년 안에 무인자동차를 개발하는 것이 더 낫지 않을까요?"
- Why Self-Driving Car? 에 대한 명쾌한 답변.
24) p.113 사업 타깃이 인구 10억 미만이라면 우리가 시간을 바칠 만한 가치가 없다고 봅니다.
25) p.115 처음에는 믿지 않지만 정말 효과가 있습니다. 실제로 10퍼센트를 향상시키기보다 10배를 향상시키는 것이 더 쉬울 때가 많아요.
26) p.123 지금까지 누구도 해결하지 못한 중요한 과제로 눈을 돌리면 세상을 위해 훨신 더 가치 있는 무언가를 창조할 수 있습니다.
27) p.124 당신이 몇 가지라도 미친 짓을 하지 않는다면 그건 당신에게 무언가 문제가 있는 것입니다.
28) p.135 놀랍게도 공상과학 작가들은 간혹 실현 가능한 아이디어를 제시합니다.
29) p.160 "룬을 시작한 이후 처음 2년 동안 우리는 어떻게든 프로젝트를 도중에 접는 일에 모든 걸 바쳤습니다. 실패할 일을 어째서 내일이나 다음 주까지 미뤄야 하나요?"
대다수 기업은 정확히 그 반대로 일한다. 이들은 성공을 선포할 때까지 가능하면 예산을 삭감하지 않고 프로젝트에 혼신을 다한다.
30) p.164 그동안 나는 엄청나게 많은 돈을 벌었지만 내가 몸담았던 회사가 세상이 발전하는 데 기여했다고 말할 수는 없습니다. 하지만 이곳은 완전히 다르더군요.
31) p.183 이제 로봇은 데이터 클라우드를 통해 인터넷과 유비쿼터스 네트워크, 데이터 연결 방식으로 계속 외부 정보를 획득하며 다른 로봇과 상호 학습도 할 수 있다.
32) p.204 웹이 등장한 초기 수억, 수천 가지 문서와 웹사이트를 1초도 지나지 않아 샅샅이 찾아내는 일이 가능할 것이라고 누가 상상이나 했겠는가.
- '그게 가능할 것 같아?'라고 묻는 사람들에게 답해주고 싶은 말. 우리가 사는 현재 역시 과거에는 상상조차 힘든 모습이다. 확실한 것은 과거에서 지금까지 과학기술이 발전했던 속도보다 훨씬 더, 지수적으로 빠르게 성장할 것이라는 사실이다.
33) p.206 한 세대 전만 해도 탄자니아의 어린이가 미국의 대통령과 똑같은 정보를 얻는 일은 상상조차 할 수 없었지요.
34) p.207 구글의 공학자들 사이에 엄청난 환희를 불러일으키는 새로운 기회는 여러 다른 기술 발전의 종합적인 결과다. 이를테면 언어 분석과 대상 인식, 컴퓨터 연산 능력, 데이터 처리 기술이 합쳐져 '전혀 다른 어떤 것'이 창조된다.
35) p.212 만약 세상의 모든 지식을 갖추면 기계가 자신에게 입력된 말을 더욱 영리하게 종합할 수 있을 것입니다.
36) p.220 우리는 두뇌가 똑같은 방식으로 끊임없이 학습한다는 사실, 그 때문에 대뇌피질의 모든 부분이 아주 비슷해 보인다는 사실에 놀랐습니다. 그것이 어떻게 작동하는지 알면 보는 것, 듣는 것, 느끼는 것, 어쩌면 논리적 사고까지 시스템이 똑같은 방식으로 작동하도록 가르칠 수 있습니다.


『태백산맥』 1권 - 조정래


p.276 - p.377


읽은페이지 수 / 달린 거리 / 누적 달린 거리

268p / 536m / 16894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