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자유
  • 행동에 제약이 없어 내가 원하는 선택을 할 수 있는 상태
  • 나는 내가 선택하지 않은 일을 하는 상태에 처했을 때 불행함을 느낀다.
  • 내가 선택한 일에 대해서만 책임질 수 있다.
  • 독립적인 성향이 강하다. 자유가 결여된 상태를 힘들어 한다.

2) 건강
  • 몸의 상태
  • 다른 가치들을 지키기 위한 필요조건
  • 중요한 가치인데, 지키기 위한 노력을 잘 안하고 있다. 반성 중이다.

3) 탁월함
  • 자신만의 날카로움
  • 성장 욕구의 근원
  • 나는 탁월함에 대한 갈망이 크고, 자신만의 날카로움을 가진 사람에게 끌린다.
  • 덧) 탁월함과 비정상에 대해
    • 정상 : 전형적이거나 적절한 표준에서 벗어나지 않은 수준
    • 비정상 : 전형적이지 않고 적절한 표준에서 벗어나는 수준
    • '비정상'이란 말이 오용되고 있다고 생각한다. 정상성(normality)은 말 그대로 normal한 것일 뿐이다. 비정상적인 상태란 1등급과 9등급을 생각하면 편하게 받아들일 수 있다. 둘 모두 평균치에서 많이 벗어나 있는 상태이다.
    • 누구나 비정상적인 부분을 가지고 있다. 아이큐가 엄청 높다던지, 운동신경이 아주 뛰어나다던지, 키가 평균에 비해 엄청 작다던지, 남들에 비해 옷을 심각하게 못 입는다던지. 이 모두가 '비정상'적인 상태다.
    • 대한민국 부모들의 대다수가 자기 자식이 공부를 잘하기를 바란다. 머리는 똑똑한데, 공부를 안해서 성적이 안나온다고 생각하는 부모들도 많다. 대부분 현실 부정이다.
    • 자기 자식을 있는 그대로 받아들였으면 좋겠다. '긍정'은 곡해하지 않고 있는 그대로 받아들이는 것이다. 그래야 재능이 보인다. 왜 많은 부모들은 자식의 날카로운 부분들을 깎아서 맨들맨들하게 만들려는 걸까? 정해진 길로 잘 굴러가라고?

4) 사람
  • 한 사람이 내게 의미로 다가왔을 때, 그 사람은 대체될 수 없다.
  • 많은 사람들과 관계를 맺는 것도 중요하지만, 특정한 사람들과 대체될 수 없는 관계를 맺는 일에 더 끌린다.

5) 통찰

  • 인사이트. 깨달음.
  • 남들이 생각하지 못한 문제를 끌어내는 힘.
  • 남들이 엮지 못한 문제를 깨달았을 때 몰입하고, 몰입했을 때 즐겁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