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독서마라톤 15일차

『싯다르타』를 읽었다. 오늘 역시 개인적인 시간이 거의 없어 책을 완독하지 못했다. 하지만 '어떠한 이해도 경험을 넘어서는 이해는 없다.'라는 인사이트를 얻었으니 그것으로 만족할 만하다.



#2. 습관 형성

 #2-1. 스마트폰 멀리하기 10일차

어제와 비슷하다. 밤에 뛰고 집에 들어오니 아침에 핸드폰을 만질 기력도 없다. 새로운 일상이 새로운 습관 형성에 큰 영향을 미친다.


 #2-2. 시간 쪼개기 3일차

시간을 효율적으로 잘 보내고 있다. 이전 같으면 쉽게 지치고 뻗어버렸을텐데, 의식적으로 자기 최면을 걸고(수업을 들을 때 이 학문은 알면 알수록 재미있다, 나는 할 수 있다 등등) 하루를 살아가니 꽤 괜찮다. 어제보다 더 나은 오늘을 살기 위해서 계속 나아가자.



#3. DATA SCIENCE SCHOOL 1주차 세 번째 수업

월요일과 화요일, 금요일은 데이터 사이언스를 배우고 수요일 목요일은 파이썬을 배운다. 오늘은 그래서 파이썬을 배웠다. 기존에 다른 언어를 일정 수준 이상 알고 있는 경우, 새로운 언어를 배우는 것이 어렵지 않다. 파이썬 역시 마찬가지여서 당분간은 여유롭게 수업을 들을 수 있겠다.



#4. 인큐 수요독서포럼 - 『공부할 권리』

책을 읽어보지 않고 독서포럼에 참여했지만, 수독포의 좋은 점은 책을 읽지 않아도 사람들과 깊은 대화를 나누게 된다는 것! 오늘 우리 조에서 가장 많은 선택을 받은 문장은 "내가 이 세상에서 정말 필요한 사람일까? 누군가에게 정말 도움이 되는걸까? 스스로 질문하며 괴로워할 때마다, '공부하는 나'는 조금씩 다른 해답을 내놓습니다."였다. 나는 '세상이 필요로 하는 사람'이 '누군가에게 대체될 수 없는 사람'이 된다고 해석했다. 어떤 이들에게 내가 대체될 수 없는 사람이라면 그것만으로 나는 세상이 필요로 하는 사람이라고. '대기만성'에 대한 이야기도 꺼냈다. 대기만성은 큰 그릇은 늦게 완성된다는 의미로 알려져있지만, 실제로는 대기면성이 올바른 표현이고, 대기면성의 뜻은 '큰 그릇은 완성이 없다.'라는 뜻이다. 공부는 끝이 없고 자신이 성장할 수 있는 정도도 끝이 없다. 그 성장치에 따라 나오는 해답도 늘 다를 것이다. 지금의 현재 상태에 안주하거나 자책하지 말고, 내가 어디를 향해 가고 있는지, 어떤 속도로 가고 있는지를 보자.




#5. 타로

수독포가 끝나고 카페로 뒷풀이를 갔다. 지성님께서 많은 분들의 타로점을 봐드렸는데, 나 역시 타로를 봤다. 내 고민은 '새로운 학문을 배우고 있는 중인데, 다른 하고 싶은 일들 역시 놓치고 싶지 않아 같이 하고 있는 중이다. 하지만 여러 가지 일을 병행하다보니 내 역량에 넘치게 일을 벌여놓은 것 같다. 학문 공부에만 집중하는 것이 좋을까, 다른 하고 싶은 일 역시 병행해도 좋은걸까?'였다. 결과는 아래와 같았다. 내가 공부하고 있는 학문을 잘하게 될 것이고, 그것으로 인한 성취가 분명할 것이다. 하지만 다른 일들과 이 학문을 병행하게 될 경우에는 더 큰 성취를 누릴 수 있고 나는 그럴만한 능력이 있다. 게다가 병행하는 일이 사람과 함께하는 일이고, 그 일에서 사람을 얻기 때문에 학문과 하고 싶은 일들을 병행하는 것이 좋아 보인다.

첫 번째 선택의 결과가 좋게 나와서 속으로 걱정했었는데(하고 싶은 일들을 포기하고 싶지 않아서), 두 번째 선택의 결과가 나를 지지해주고 있었다. 그래, 원없이 해보자.

,

#1. 독서마라톤 8일차

강남역 알라딘에서 여행학과 사전 도서인 『아트로드』 를 구입해 읽었다.

이쁘고 질 좋은 다이어리도 하나 샀다.

언제나 그랬지만, 책을 산다는 건 기분 좋은 행위다.


#2. 습관 형성 4일차 : 스마트폰 멀리하기

오늘은 아침에 일어나서 스마트폰을 계속 사용했다.

어제 술을 진탕 마시고 내일의 계획을 세우지 않은 채로 잠이 들었기 때문이다.

그래서 자연스레 누워서 핸드폰을 사용했고, 그것이 문제임을 깨달았을 때에도 핸드폰을 손에서 놓을 수가 없었다.

시간은 흐름이다.

오늘의 컨디션이 내일에도 영향을 미친다.

오늘의 끝맺음이 내일의 시작을 좌우한다.

오늘은 정갈하게 하루를 마무리하고 내일을 맞이하자.


#3. 인큐 아이프로젝트 47, 48일차

지금까지 블로그를 방치해두다가 최근부터 블로그에 글을 많이 쓰고 있다.

하루에 의무적으로 올려야 하는 글만 하더라도 2편(성장일기, 독서마라톤)이기 때문에 한 달에 70편 정도의 글을 포스팅하지 않을까 싶다.

아이프로젝트가 끝나고 독서마라톤이 끝나더라도 꾸준하게 습관을 이어갔으면 좋겠다.


#4. 하프마라톤 예비훈련 2일차

뛰는 건 힘들지만 뛰고 나면 뿌듯하다.

기분 좋은 하루의 마무리.



,

#1. 독서마라톤 7일차

『구글은 SKY를 모른다』 를 완독했다.

성공하면 행복한 것이 아니라 행복을 좇으면 성공이 따라오는 법이다.


#2. 인큐 아이프로젝트 46일차

아이프로젝트 미션북 : 모델링

모델링 대상으로 '서형일'씨를 선택했다.

4년 전에 만났을 때에도 배움의 깊이가 대단하다고 느껴졌는데, 지금은 얼만큼 성장해 계실지 정말 궁금하다.


#3. 습관 형성 2일차 : 스마트폰 멀리하기

오늘도 상쾌하게 일어났다.

확실히 자기 직전에 스마트폰을 사용하지 않으니 푹 자게 된다.

달리기를 시작하면 더 깊이 자겠지?


#4. 하프마라톤 예비훈련 1일차

나이키플러스 어플을 키고 20분 걷기, 10분 뛰기를 했다.

집 돌아와서 기록을 보려다가 나도 모르게 삭제해버렸다.

하 인생..ㅋㅋ


#5. 파이썬

오늘도 파이썬 공부를 했다.

코드아카데미 파이썬 분량이 1/3도 남지 않았다.

이번주 내에 끝내자.

,

#1. 독서마라톤

『글쓰기 만보』 231쪽을 읽었다.

아직 소설로 쓰고 싶은 소재가 없어서 고민이다.


#2. 인큐 아이프로젝트

아이프로젝트 미션북 : 43일차, 44일차

'다른 사람들은 나를 어떻게 기억하는가?'

It's up to me, not you.

내가 이미지를 만든다.


#3. 습관의 힘

승우형이 『습관의 힘』이라는 책에 대해서 이야기했다.

습관을 없애기 위해서는 '무의식적으로 행동하는 이유'를 파악해야 한다고 말했다.

여러가지 방법을 통해서 내가 습관을 통해 무엇을 충족시키고 싶었는지를 파악해보고, 습관을 고칠 수 있다.

나는 아침마다 핸드폰을 만지는 습관이 있다.

생각해보니 카카오톡을 확인하는 것부터 하루를 시작하더라.

핸드폰을 확인하는 것이 '내게 전달된 소식을 확인하고 싶은 욕구'가 있기 때문이라고 생각한다.

스마트폰에서 카카오톡을 지우고 핸드폰을 내 몸에서 최대한 멀리 떨어트려놓으면, 노트북을 켜야 내게 온 소식을 확인할 수가 있다.

그러면 나는 자연스레 '누워서'가 아니라 '앉아서' 하루를 시작하게 된다.

내일부터 당장 실험해보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