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상깊은 구절 및 느낀점
1. p5) 그게 소설이든 시든, 어떤 젊은이가 갑자기 책상에 앉아서 뭔가를 쓰기 시작했다면, 지금 그의 내면에서 불길이 일어났다는 뜻이다.
2. p7) 지능은 데뷔할 때만 필요하다. 그 다음에는 체력이 필요할 뿐이다.
3. p25) 어떤 특정 시기, 예를 들자면 열다섯이나 열여섯 살에 시란 자위행위나 마찬가지랍니다. 하지만 훌륭한 시인은 나중에 초기 시를 불태워버리고, 별 볼 일 없는 시인은 초기 시를 출판하지요.
4. p30) 미학에서 중요한 질문은, 예술작품이란 무엇이며, 우리와 어떻게 소통하는가라는 문제입니다. 저는 ‘어떻게’라는 방식에 특히 관심이 있죠.
5. p32) “상징이 더 알기 어렵고 애매할수록 의미와 힘을 얻는다.”
6. p35) 저에게 있어 역사소설은 실제 사건을 허구화한 것이 아니라 실제 역사를 더 잘 이해할 수 있게 해주는 허구랍니다.
- 예전에 문학동네에서 출판되었던 『요코이야기』가 비난 받았던 이유도 그 때문이다. 소설은 허구를 바탕으로 하지만 역사 소설은 그 당시의 역사를 더 쉽게 이해하게 해주는 도구이기도 하기 때문이다.
7. p36) 결국에는 저항할 수 없는 충동이 생기더군요.
내게 ‘저항할 수 없는 충동’으로 시작한 일이 뭐가 있을까? 우선 가장 근접한 것은 열정대학을 다시 들어온 일이다.
8. p37) 남자는 여자를 사랑한다, 이건 전혀 독창적인 사고가 아니지요. 하지만 문학적인 솜씨를 발휘해서 남녀의 사랑에 대해서 멋진 소설을 쓴다면, 그것을 절대적으로 독창적인 것으로 만들 수 있습니다.
9. p38) 소설을 쓸 때 먼저 하나의 세계를 창조하고 나면 “말은 거의 저절로 생겨난다.”
10. p52) 어떤 농부가 자신이 잘 알고 있는 새로운 접목 기술로 새로운 종류의 사과를 생산해낸다면 그 순간 지적인 행위를 생산하는 것이지요. 반면에 하이데거에 대한 똑같은 수업만 평생 되풀이 하는 사람은 딱히 지식인이라고 하기 어렵지요.
- 오늘날의 공교육은 지식인을 배출해내는 과정일까? 글쎄
11. p53) 지식인의 기능은 미리 어떤 일을 얘기해주는 것입니다. 즉, 극장이 오래되고 낡았다면 그 사실에 관심을 기울이는 것이지요.
12. p74) 소설가는 악마적이고 낭만적인 비전 때문이 아니라 끈기 때문에 인상적 이지요.
13. p102) 우선 전략에서 시작한 뒤, 그것이 갖는 문학적, 도덕적 진지함을 믿으면 결국 그것은 진지한 문학적 발명이 됩니다. 일종의 문학적인 언명이 되는 것이지요.
14. p113) 저는 존 어빙을 인터뷰한 적이 있었는데, 그는 좋은 책을 읽는건 마약 주사 같은 거라고 하더군요. 일단 중독되고 나면 항상 다음을 기대하게 되지요.
15. p114) 만일 작가가 ‘괜찮을거야. 나는 이미 알고 있으니까 독자들도 알겠지.’라고 생각한다면 그건 아주 오만한 거예요.
16. p116) 지금은 미국에 가는 게 쉬워요. 모든 사람들이 세계 어느 곳이나 갈 수 있지요. 하지만 1960년대에는 거의 불가능했어요. 그래서 그저 읽어대고 음악을 듣고 아무데로나 여행을 떠났지요.
- 세계가 좁아지면서 당시의 여행과 현대의 여행은 큰 차이가 생겼다. 지금의 여행은 당시보다 자극이 덜한 일상에 가깝다.
17. p121 책을 쓰는 데 있어서 좋은 점은 깨어 있으면서도 꿈을 꿀 수 있다는 것입니다.
18. p127 우리는 마음속에 제정신인 부분과 제정신이 아닌 부분이 함께 있어요. 이 두 부분을 타협해가면서 사는 거지요.
19. p156) 저는 공책을 단어들을 써놓은 저장소라거나, 제 생각과 자기반성을 적어놓는 비밀스런 장소라고 여기는 것 같아요.
20. p157) 작가가 되기 원한다는 것을 언제 처음 알게 되셨나요?
메이저리그 야구 선수가 될 수 없다는 것을 알게 된 그 다음해 즈음해서 알게 되었습니다. 열여섯 살이 될 때까지 야구는 아마도 제 삶에서 가장 중요한 것이었을 겁니다.
21. p166) 농담은 가장 순수하고 가장 본질적인 형태의 스토리텔링입니다.
22. p175) 노동계급에 속한 사람들의 지적수준을 얕보는 경향이 있는데요, 제 경험에 기초해보면 노동자 대부분은 세상을 지배하는 사람들만큼 독똑합니다. 단지 그들만큼 야심차지 않은 것뿐이에요.
23. p214) 그렇지만 제가 좋은 기자라고 생각하지 않아요. 저는 본 것을 기억하는 것보다는 상상한 것을 훨씬 더 정확하게 기록할 수 있으니까요.
24. p220) 종교적 광신자만이 인간의 생물학적 진화론의 산물이라는 것을 부인하고 싶을 겁니다. 문제는 진화론적인 과거가 얼마나 많이 우리를 우리 자신에게 설명할 수 있는가라는 것입니다.
25. p240) 저는 처음 6개월 동안 쓴 것들을 다시 읽으면서 생명력이 넘치는 한 단락, 한 문장, 경우에 따라서는 한 구절에 빨간색 밑줄을 긋고 이것 모두를 한 페이지에 타자합니다. 대개 이것은 한 쪽 정도의 분량 밖에 되지 않지만, 운이 좋다면 이것이 제 이야기의 첫 쪽이 되기도 합니다.
26. p241) 작가들이 서로에게 언제 작업을 시작하는지, 언제 끝나는지, 그리고 얼마나 오랫동안 점심을 먹는지 물을 때, 그들이 정말로 알고 싶은 것은 ‘그도 나만큼 미쳤나?’라는 점이라고 하네요.
27. p249) 글쓰기는 정교한 가면을 씀으로써 개인적인 것을 공적인 행위로 바꾸는 것입니다.
28. p259) 제 관심은 사람들이 정말로 하는 일에 대해 글을 쓰는 것입니다.
29. p298) 키치란 똥의 존재를 절대적으로 부정하는 것이지요.
- 키치에 대해 보았던 정의 중 가장 명확하다!
30. p298) 사람들이 카프카를 해석하려고 하기때문에 어떻게 읽어야 할지 모른다는 점을 알고 계십니까?
31. p299) 카프카의 소설은 꿈과 현실의 결합입니다. 즉, 꿈도 현실도 아니에요.
32. p334) 「대성당」을 쓸 때 어떤 강한 감정을 느꼈고, ‘이게 내 삶의 목적이야, 이것이 내가 이 일을 하는 이유야.’라고 느꼈답니다.
33. p342) 저는 지금 어느 때보다 더 강해진 것 같고 확신에 차있습니다. 그러니까 ‘명성’은 아주 좋은 영향을 미쳤습니다. 자신감이 필요할 때 자신감을 강화시켜주었지요.
34. p346) 예술은 우리가 예술이라고 정의내리는 모든 특징들을 갖추고 있지요. 그러나 예술은 또 한편으로는 우월한 형태의 오락입니다.
- 그 행동 자체에서 즐거움을 찾을 수 있기 때문이다.
35. p364) 「낙엽」을 쓰는 순간부터 제가 작가가 되기를 바란다는 것과, 누구도 저를 말릴 수 없으며, 해야 할 유일한 일은 세계적인 최고의 작가가 되려고 노력하는 것임을 깨달았습니다.
36. p367) 하늘을 훨훨 날아가는 코끼리가 한 마리 있다고 말할 때, 사람들은 그 이야기를 믿으려고 하지 않을 겁니다. 그렇지만 하늘을 훨훨 날아가는 코끼리 425마리가 있다고 말하면 사람들은 아마도 그 이야기를 믿으려고 할 것입니다.
- 거짓말은 구체적으로
37. p374) 특별한 훈련을 받지 않고 가치있는 책을 쓸 수 있을거라고 생각하지 않습니다.
38. p394) 헤밍웨이는 서서 글을 쓰는데, 이건 그가 처음부터 갖고 있던 글 쓰는 습관이다.
39. p438) 소설가들은 자신이 하는 일에 결코 만족하면 안 됩니다. 이미 쓴 소설은 결코 자신의 꿈이나 가능성만큼 훌륭하지 못합니다.
40. p441) 성공 앞에서 굽실거린다면 성공이 짓밟을 것입니다. 성공을 다루는 방법은 성공을 경멸한다는 것을 보여주는 것입니다. 그러면 성공이 굽실거릴 것입니다.
41. p483) 소설가들은 실재 인물을 모델로 쓰지 않는 척하길 좋아하지만, 누구나 실제로 그렇게 합니다.
42. p495) 다른 무엇인가를 바탕으로 하여, 허구임에 틀림없지만, 매우 진실하고 완전히 새로운 세계를 우리들에게 보여주는 것이다.
읽은페이지 수 / 달린 거리 / 누적 달린 거리
5-495 / 491p / 982m / 982m
'열정대학 > 독서마라톤'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독서마라톤, 6일차]『구글은 SKY를 모른다』- 이준영 (0) | 2016.08.22 |
---|---|
[독서마라톤, 5일차]『글쓰기 만보』- 안정효 (0) | 2016.08.21 |
[독서마라톤, 4일차]『글쓰기 만보』- 안정효 (0) | 2016.08.20 |
[독서마라톤, 3일차]『나는 매일 진화한다』- 권율 (0) | 2016.08.19 |
[독서마라톤, 2일차]『나는 매일 진화한다』- 권율 (0) | 2016.08.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