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상깊은 구절 및 느낀점


1) p.15 글쓰기는 헤엄치기와 똑같다. 글쓰기뿐 아니라 모든 공부가 수영을 배우는 과정과 똑같다.

- 일단 행동하자.

2) p.18 "하고 싶은 말을 다 했으면, 끝내라."

3) p.21 인간은 실제로 작업을 하는 동안이 아니라, 계획하고 기다리는 동안 가장 많은 일을 한다.

- 일을 잘하는 프로들은 실제로 업무를 하지 않을 때에도 미리 해야될 업무를 파악해 놓는다. 자신도 모르는 새에 무의식적으로 업무의 윤곽을 그릴 수 있기 때문이다.

4) p.25 "있을 수 있는 것" 단 세 가지 단어를 모조리 제거하기만 하더라도 글이 얼마나 윤기가 나는지 스스로 놀라게 되리라고 생각한다.

- "있었다", "것", "수"라는 단어를 모조리 없애는 훈련을 하자.

5) p.33 억지로 쓴 글은 좀처럼 좋은 글이 되지 않는다.

6) p.34 소설 쓰기는 지극히 정밀한 노동이어서, 단어 하나하나에 신경쓰기를 게을리 하면 안된다.

7) p.36 집을 다 짓고 나면 말끔하게 칠을 하듯, 글을 쓰고 나면 반복된 단어나 중복된 토씨 따위를 걸러내는 과정이 따로 필요하다.

8) p.44 눈에 걸리는 단어들, 특히 긴 단어들을 없애버리면, 모든 문장이 간결해지고, 압축된 문장에서는 폭발력이 생겨난다.

9) p.50 거느려야 하는 어휘 수가 늘어나고 기교와 순발력이 능해지면 문장에서는 힘이 빠진다.

10) p.54 진실과 논리는 아무런 꾸밈도 필요없다.

11) p.55 개인적인 감정은 한 사람의 주체와 그것이 지닌 시각을 기준으로 삼는다. 그리고 기준을 이루는 이 시각을 '관점'이라고 한다.

12) p.62 발동이 걸린 상상력은 이제 멈출 줄을 모른다. 나는 그럴 때면 산책을 나간다.

- 나는 이 때 마라톤 연습을 하면 좋겠다.


읽은페이지 수 / 달린 거리 / 누적 달린 거리

14~62 / 49p / 98m / 1646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