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활동 개요(날짜, 장소)


집에서 두 정거장 떨어져 있는 상봉 메가박스에서 2016년 9월 22일 23시 50분에 시작하는 영화 <밀정>을 보았다.



Q) 활동 동기


나는 영화 보는걸 좋아한다. DVD방에서 야간 아르바이트를 했을 때 매일 한 편의 영화를 보곤 했다. 그리고 나서 왓챠에 평점을 매기고 기록을 남겼다. 최근 들어서는 영화를 많이 못봤다. 열정대학에서 과목으로 신청해서 보는 게 아니라면, 몇달 동안 영화를 한 편도 보지 않겠다 싶어 영화 관련 과목을 2개 신청했다. 그 중 하나가 <나 혼자 심야영화>과목이었다.

4년 전에 적었던 버킷리스트에, 혼자 영화관에서 영화 보기가 있었다. 그 해에 두 차례 정도 영화관에서 심야영화를 보았다. 그 이후로는 혼자 영화관에 간 경험이 없었는데, 잘 됐다 싶었다.



Q) 활동 내용과 느낀점


볼만한 영화가 밀정 밖에 없었다. 선택지가 하나인 셈. 왓챠 예상 별점은 3.5가 나왔다. 나는 왓챠의 추천 알고리즘을 신뢰하기 때문에, 이 정도면 나쁘지 않겠다고 생각했다.

9월 22일 수요일, 10시부터 6시까지 데이터 사이언스 스쿨에서 공부를 하고, 그 이후 <CODE>를 읽고, 독서 마라톤 과제를 작성하고, 소설을 800자 작성하고, 하프 마라톤 연습을 하고 씻고 나니 밤 11시 10분 정도가 되었다(바쁘다 바빠...). 이후 집에서 나와 버스를 타고 메가박스로 갔다. 편의점에서 감자칩과 맥주 한 캔을 사서 올라갔다. 23시 50분에 시작하는 영화표를 구매해 상영관으로 들어갔다.



영화는 좋았다. 최근에 일제강점기를 다룬 영화가 다수 나왔는데, 그 중에서 가장 잘 만들어진 영화라는 생각이 들었다. 송강호와 공유의 심리 묘사와 디테일이 영화를 살렸다.

3일 뒤에 밀정에 관하여 <질문이 있는 영화> 과제를 작성했다. 이 글은 아래에 첨부한다.


Q1) 히가시는 왜 조선인인 하시모토를 이정출 옆에 붙였을까?

Q2) 이정출은 조선이 독립이 되리라 생각하지 않았다그럼에도 불구하고 밀정을 했던 이유는 무엇인가?

Q3) 김우진에게 햇빛은 어떤 의미였을까?

Q4) 워너 브라더스가 처음으로 한국 영화에 투자하고 제작과 배급까지 했다왜 그랬을까?

Q5) 국내용 영화 포스터는 왜 구릴까?



A1)

히가시는 조선인 경부인 이정출을 신임하는 듯 하면서 완전히 신뢰하지는 않았다그래서 그를 견제할만한 인물을 붙여놓았다고 생각한다하시모토와 이정출은 계급은 동급이지만나이는 하시모토가 훨씬 어리다군대에서 나이 적은 장교와 경력 많은 부사관을 같이 붙이는 식처럼권한을 남용하고 독단으로 빠지지 못하도록 어느 정도 견제한 게 아닐까.

연출의 상징성의 면에서도 이는 의미 있다조선인이 조선인들끼리 갈등 관계를 맺고 스스로 분열하게 만드는 것은 일제강점기 시절 일본이 조선에 가했던 수법이다그래서 일본은 경무국의 상당수를 조선인으로 뽑지 않았을까 추측해본다.

 


A2)

이정출은 일본 경부로 일을 하면서 성공했지만그만큼 양심의 가책을 많이 느꼈을 것이다그 역시 조선의 독립을 바라고 있었다다만 그 일이 너무나 힘들어 보였다그래서 기회주의적인 태도를 취했다그러다 의열단원인 김우진의 진심을 보았다그 때 이정출은 행동의 동기가 바뀌었다.할 수 있는 일에서 마땅히 해야 하는 일로.

사람은 각자 무엇에 얼마나의 가치를 두는가가 다르다그게 가치관이다이정출은 김우진을 만나 가치관의 변화를 겪었다그 변화가 행동의 변화를 낳았다.

 


A3)

죽는 날까지 하늘을 우러러 한 점 부끄럼이 없기를잎새에 이는 바람에도 나는 괴로워했다김우진이 교도소에 갇혀 있을 때차마 햇빛을 제대로 바라볼 낯이 없었을 것이다작전이 성공했다는 소식을 듣고 나서야 그는 미소를 머금고 햇빛을 마주한다의열단원들의 죽음에 대한 아픔과작전이 실패했다는 마음의 빚을 내려놓고.

 


A4)

김지운 감독에 송강호와 이병헌이 출연하는 영화이다이 조합이면 실패하기 힘들다요즘에 일제강점기를 다룬 역사 영화가 많이 나오는 편인데웰메이드 영화는 많지 않았다그런데 대부분 성공했다그래서 일제강점기를 다룬 역사 영화를돈을 많이 투자해 웰메이드로 만들어보자송강호를 주연으로 하고 이병헌도 출연시키고 김지운 감독을 감독으로 두면 천만관객 가능하겠다.’고 판단했으리라 생각한다그리고 실제로 영화가 성공했다수십 편의 한국 영화를 투자제작배급했는데 대부분을 말아먹고 곡성이 첫 번째로 성공한 것과 대조적이다밀정의 성공을 배양삼아 한국에 지속적인 투자가 이루어지지 않을까 싶다.

 


A5)

우리나라 영화 포스터에는 공식이 있다주연 배우의 얼굴이 무조건 크게 포스터에 박혀야 한다.우리나라 사람들이 출연하는 배우를 보고 영화를 볼지 안 볼지 결정하기 때문이다영등위의 심사를 거쳐야하기 때문이기도 하다선정적이거나 유해하다고 판단될 경우 검열하다보니 얼굴을 크게 박아놓은 포스터는 통과되기가 쉽다또 속칭 윗사람들은 예술적인 방식의 포스터를 좋아하지 않는다포스터에 송강호 얼굴 박고공유 얼굴 박은 포스터를 좋아한다그래야 통과시켜준다그래서 영화 소비자 입장에서는 매번 비슷한 형식의 포스터만 보게 된다.

예술에 조금 더 자유를 주었으면 좋겠다그리고 소비자층도 예술적인 포스터를 누릴 권리가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