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hile ( produced_memory_disjunction_ratio < acceptable_ratio ) :
......
"여기에 기억이 저장되나요?"
"아뇨, 여기는 기억을 저장하는 곳이 아니라 생산하는 곳이에요. 저장되는 곳은 저쪽이죠."
하얀 연구복을 입은 여성이 검은 코트를 입은 남성의 뒷편을 손끝으로 가리키며 말했다.
"아, 그렇군요. 그런데 그게 정말 사실인가요? 앞으로 가짜 기억을 사고 팔 수 있다는 게."
"우선은 군사적인 목적으로만 사용될 거라고 해요. 적국에 대한 강한 적개심과 위치 정보, 전투 기억 등을 군인들에게 심어 놓는거죠. 아, 물론 의무복역을 하고있는 범죄자들에게만요. 일반인들에겐 나중에 풀릴 거에요. 법률적인 문제를 통과하려면 시간이 필요하니까요."
"기억은 어떤 방식으로 생산되는 건가요?"
"음, 기억 생산은 쉽게 두 가지로 나눌 수 있어요. 한 사람의 저장된 기억을 개량해서 다른 사람에게 주입하는 방법과, 아예 새로운 기억을 생산하는 방법이죠. 기억 개량 방식은 기억을 주입받는 사람이 생산된 기억에 이질감을 느끼지 않도록 여러 환경과 변수들을 그 사람에 맞게 바꿔야 하죠. 보통 그런 일은 기억 개량을 학습한 인공지능이 진행합니다. 문제는 새로운 기억을 생산하는 방법이에요. 이건 완전히 다른 영역이죠."
"설명해주실 수 있나요?"
"음, 제가 잘 설명할 수 있을지 모르겠네요. 예시를 들어볼게요. 검은 바다 위를 걸어다니는 빨간 토끼를 상상하지 마!"
"그게 뭐죠?"
"아마 당신은 이 말을 듣는 순간 빨간 토끼나 검은 바다, 혹은 그 위를 걷는 토끼 등을 상상하셨을 거에요. 제가 분명 상상하지 말라고 말했음에도 불구하고 말이에요. 우리는 새로운 기억을 만들어낼 때 상상의 영역을 이용하면 생성이 훨씬 쉬워진다는 것을 연구 중에 알게 되었죠. 상상은 알고 있는 것들을 재조합하며 일어납니다. 당신은 그런 모습을 전혀 본 적이 없지만, 색깔과 동물, 바다, 걸음 등에 대해서 알고 있기 때문에 제가 말한 것들을 재조합할 수 있는 거죠."
"그런데 왜 상상하라고 말하는 게 아니라, 상상하지 말라고 말하는 건가요?"
"상상에 제지를 걸 때 뇌가 더 활성화 되더라고요. 하지 말라고 하면 더 하고 싶은 것처럼요. 제가 당신에게 검은 바다 위를 걸어다니는 빨간 토끼를 상상하지 말라는 소리를 수없이 되풀이 한다면, 당신은 절대 빨간 토끼를 잊을 수 없을 거에요."

......


'글상자 > 끄적끄적' 카테고리의 다른 글

#47. 제논의 역설  (0) 2017.03.15
#46. 위로  (0) 2017.03.14
#44. 제 친구를 소개합니다  (0) 2017.03.12
#43. 기억을 거닐다  (0) 2017.03.11
#42. 나비 효과  (0) 2017.03.10
,